IaaS와 PaaS의 명확한 사업 영역 구분과 상용화 가이드라인 필요

[컴퓨터월드] ‘파스-타(PaaS-Ta)’는 6년 동안의 개발과 고도화 과정을 거쳐 국내 클라우드 시장에서 조금씩 영향력을 확대해 나가고 있다. 하지만 ‘파스-타’가 레드햇, 피보탈과 같은 세계적인 업체와 경쟁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해결해야할 두 가지 숙제가 있다. 바로 IaaS와 PaaS 사업의 명확한 사업 영역 구분과 상용화를 위한 가이드라인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IaaS 사업에 끼워 맞추면 PaaS 생태계 퇴색될 것”

‘파스-타’는 현재 행정안전부의 전자정부 클라우드 플랫폼 구축과 같은 굵직한 공공부문의 사업에 적용되고 있다. 정부는 ‘파스-타’의 공공부문 사업이 민간에 확산되도록 마중물이 되기를 기대하고 있다.

그러나 IT업계에서는 ‘파스-타’가 적용될 사업이 IaaS 사업인지, PaaS 사업인지 그 기준이 불명확해 문제가 많다고 주장한다. 공공사업에서 ‘파스-타’를 도입하기 위해 IaaS 사업을 PaaS 사업으로 규정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 경우 IaaS 업체들의 공공사업 참여를 막게 된다는 것이다.

실제 공공기관의 레거시 시스템을 클라우드로 전환하는 사업에 ‘파스-타’를 활용하는 경우가 많다. 레거시 시스템을 클라우드로 전환하는 사업이 컨설팅 단계 이후 데이터 마이그레이션 등의 작업을 수행, 운영, 관리 단계를 거친다는 감안하면 PaaS 사업이 아니고 IaaS 사업이라 할 수 있다.

‘파스-타’를 적용하기 위해 IaaS 사업이 PaaS 사업으로 둔갑하고 있는 것이다. 국내 클라우드 업계는 공공기관 레거시 시스템의 클라우드 전환 사업에 ‘파스-타’를 끼워 넣기 위해 PaaS 사업이라는 이름을 내걸어 IaaS 전문 기업들은 사업 참여기회를 박탈한다며 불만을 토로한다. 공공기관의 레거시 시스템의 클라우드 전환사업이 IaaS 사업인지, PaaS 사업인지 명확히 해야 하는 이유이다.

사실 레거시 시스템을 클라우드로 전환하는 작업은 IaaS 영역이다. 하지만 IaaS 사업에 ‘파스-타’를 활용하라고 명시하면, IaaS 전문 기업들이 공공사업에 참여할 기회를 잃을 수 있다. 이는 국내 클라우드 생태계 전반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밖에 없다.

공공기관이 사업을 발주할 때 PaaS 사업인지, IaaS 사업인지 정확히 명시해야 한다. 물론, 클라우드 시장에서 인프라와 플랫폼이라는 개념을 별도로 분리하고 있지는 않지만, 건전한 클라우드 생태계를 위해 최소한 공공부문에서만큼은 IaaS와 PaaS 영역을 명확히 구분해야 한다는 것이 업계의 시각이다.

공공기관이 이 같은 문제를 능동적이고 주도적으로 개선해 나간다면, ‘파스-타’를 활용한 사업의 기술적 성숙도 역시 높아질 것이며, ‘파스-타’에 대한 국내 IT 업계의 인식도 점차 개선돼 오히려 ‘파스-타’가 보다 더 확산될 수 있을 것이다.

▲ ‘파스-타 5.0’의 주요 기능


비즈니스 활용 위해 상용화 가이드라인 필요

몇몇 기업들이 ‘파스-타’를 자사의 비즈니스에 적용하기 위해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 사업 다각화를 위해 ‘파스-타’ 상용화에 나선 업체들은 대부분 자본력이 부족한 중소기업이다. 이들 기업들은 자본과 전문 인력이 부족한 상태에서 파스-타 상용화에 나서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정부 측이 가이드라인을 제시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파스-타’를 상용화 하는 방법은 크게 2가지다. 파스-타’를 SW로 상용화시키는 것과 ‘파스-타’를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기반 플랫폼으로 구축해 이를 서비스하는 방법이다.

최근 ‘파스-타’의 상용화 문제가 주목받는 이유는 중소기업 주도로 개발과 고도화를 이뤄냈는데 반해, 막상 상용화에 들어갈 때에는 중소기업들이 갖춘 기술적 역량만으로는 부족하기 때문이다. 정부차원에서 중소기업에서도 ‘파스-타’를 상용화할 수 있도록 가이드를 제시해줘야 하는 이유이다.

실례로 ‘파스-타’와 마찬가지로 정부 주도로 개발된 전자정부 표준프레임워크는 정부의 가이드라인 제시로 인해 확산과 고도화, 중소기업들의 참여 등이 원활이 이뤄질 수 있었다.

전자정부 표준프레임워크와 ‘파스-타’의 차이를 극명히 볼 수 있는 지표가 있다. 시중 서점이나, 온라인 서점에 전자정부 표준프레임워크와 관련된 책은 차고 넘치지만 ‘파스-타’와 관련된 책은 전무하다.

가이드라인은 고사하고 ‘파스-타’에 관한 변변한 책 한권 없는 상황에서 ‘파스-타’가 확산될 수는 없다. ‘파스-타’가 전자정부 표준프레임워크와 같이 되기 위해서는 ‘파스-타’를 비즈니스에 활용하려는 기업들이 이정표로 삼을 수 있는 가이드라인이 있어야 한다.

▲ 전자정부 표준프레임워크와 파스-타 관련 책의 유무 (출처: 알라딘)

한 관계자는 “‘파스-타’ 상용화를 위해서는 기업의 역량도 중요하지만 ‘파스-타’에 대한 기술적 이해도가 크게 작용한다”며, “이를 위해 정부에서 ‘파스-타’ 관련 가이드라인을 만들어 제공해야 한다. 그렇게 된다면 향후 ‘파스-타’에 대한 기업들의 인식도 바뀌게 되고 결국은 ‘파스-타’를 상용화하려는 기업도 늘어날 것”이라고 말했다.

‘파스-타’가 현재 전 세계적인 트렌드로 자리 잡은 하이브리드 클라우드의 기반 플랫폼이 될 수 있다는 점이 가이드라인이 필요한 또 다른 이유다.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구축을 위해서는 온프레미스와 퍼블릭 클라우드가 호환돼야 한다. 온프레미스의 플랫폼과 퍼블릭 클라우드의 플랫폼의 호환성을 높이는 데 ‘파스-타’가 이용될 수 있다. 파스-타’ 관련 가이드라인이 만들어 진다면, 국내 클라우드 생태계 전반에 더욱 활기를 불어넣을 수 있다는 얘기다.

‘파스-타’가 필요한 플랫폼이라는 점에 대해서는 대부분 동의한다. 외산 클라우드 플랫폼들이 국내 플랫폼 시장을 지배해가는 상황에서 국산 플랫폼인 ‘파스-타’의 존재가치는 확실하다.

다만, 업계 일각에서 들려오는 비판의 목소리를 받아들이고, 능동적으로 문제를 수용해 문제를 해결하는 자세가 필요하다. 그래야만 ‘파스-타’의 확산과 고도화가 가능할 것이다.

‘파스-타’의 확산은 국내 클라우드 플랫폼 생태계에 많은 기업들과 연결고리를 만들어 가고 있다. 현재 시장을 주도하고 있는 외산 업체들과의 경쟁을 통해 기술이 고도화될 것이며 클라우드 생태계 역시 보다 활성화될 것이다.

저작권자 © 컴퓨터월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